본문 바로가기
책/자기계발

돈을 끌어당기는 위대한 지식 : 부를 창조하는 5가지 원칙

by 조엘스 2025. 2. 11.
반응형

우리는 모두 경제적 자유를 원하지만 돈은 단순히 열심히 일한다고 해서 모이는 것은 아니다. 부자들을 보면 돈을 대하는 사고방식이 다르다는걸 알 수 있는데 오늘은 돈을 끌어당기는 위대한 지식에 대해 이야기하고 부를 창조하는 5가지 원칙을 적어보려고 한다.

 

1. 부자가 되는 공식 : "돈 = 가치 제공"

많은 사람들이 돈을 노동의 대가라고 생각하지만 진정한 부자는 노동이 아닌 가치 제공을 통해 돈을 번다.

 

부자가 되는 공식

돈 = 당신이 세상에 제공하는 가치 x 가치를 원하는 사람의 수

- 시급을 받는 직장인은 자기 시간을 교환해 돈을 번다.

- 사업가는 가치를 제공해 돈을 번다.

 

결론 : 돈을 더 벌고 싶다면 더 큰 가치를 더 많은 사람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생각해야 한다.

 

 

2. 돈에 대한 부정적인 믿음을 버려라

어릴때부터 "돈은 나쁜 것"이라는 생각을 심어주는 환경에서 자란 사람들이 많다.

- "돈이 많으면 오만해진다."

- "부자는 부정한 방법으로 돈을 번다."

- "돈을 밝히면 욕심 많은 사람처럼 보인다."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으면 자기도 모르게 돈을 멀리하게 된다. 부자들은 돈을 긍정적으로 바라본다.

- "돈은 자유를 준다."

- "돈은 더 많은 사람을 도울 수 있는 힘이다."

- "나는 돈을 벌 자격이 있다."

 

결론 : 돈을 부정적으로 생각하면 돈도 당신을 피한다. 먼저 마인드셋부터 바꿔보자.

 

사진:  Unsplash 의 Christine Roy

 

 

3. 부자들은 돈을 다르게 사용한다.

평범한 사람과 부자의 가장 큰 차이는 돈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가난한 사람의 소비 패턴 :

- 급여 → 생활비 → 남는 돈이 거의 없음

- 돈이 생기면 소비 먼저

- "돈은 쓰라고 있는 거야!"

 

부자의 소비 패턴:

- 수익 → 투자 → 생활비

- 돈이 생기면 먼저 자산을 만든다

- "돈이 나를 위해 일하게 만들어야 해!"

 

부자들은 먼저 돈을 부동산이나 주식등 자산에 투자하고 그 자산이 만들어낸 수익으로 생활을 한다.

 

결론 : 돈을 벌었다면 무저건 먼저 저축이나 투자를 하고, 나머지를 소비하자.

 

 

4. 돈을 벌려면 '레버리지'를 활용하라

레버리지란 남의 시간, 돈, 시스템을 이용해 내 수익을 극대화 하는 것이다.

 

직장인 : 

- 나 혼자 일해서 연봉을 받음 → 레버리지 없음

- 사업을 시작해 직원과 시스템을 활용 → 레버리지 있음

 

투자자 :

- 월급을 모아 저축만 함 → 돈이 불어나지 않음

- 주식, 부동산 등에 투자해 복리 효과를 누림 → 돈이 스스로 돈을 만듦

 

결론 : 혼자 일해서 돈을 벌 생각을 버리고, 레버리지를 활용하는 방법을 익혀보자.

 

 

5. 부자들은 '돈의 속성'을 이해한다

돈에도 법칙이 있다. 이 법칙을 이해하면 돈이 저절로 따라오게 된다.

 

돈은 속도가 중요하다.

- 돈이 들어오고 나가는 속도가 빠를수록 자산이 빨리 불어난다.

- "천천히 부자가 될래?"라는 질문은 어불성설이다.

 

돈은 네트워크를 따라 움직인다.

- 부자들과 어울릴수록 돈의 흐름을 배울 수 있다.

- 반대로 돈이 없는 사람들과만 어울리면, 가난한 사고방식이 고착된다.

 

돈은 감정이 아니라 논리로 다뤄야 한다.

- "이건 사고 싶어!"라는 감정적 소비를 줄이고

- "이건 나에게 돈을 벌어다 줄까?"라고 생각하는 습관을 가져라.

 

결론 : 돈의 속성을 제대로 이해하면, 돈이 당신을 따라오게 될 것이다.

 

 

사진: Unsplash 의 Mathieu Stern

 

결론 : 돈을 끌어당기는 사람의 공통점

1. 가치를 제공하는 사람이 돈을 벌 수 있다.

2. 돈에 대한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져야 한다.

3. 돈을 쓰기 전에 자산을 먼저 만든다.

4. 레버리지를 활용해야 한다.

5. 돈의 속성을 이해하고 실천한다.

 

우리도 돈을 끌어당길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지식이 아니라 실천이니 오늘부터 하나씩 적용해보도록 하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