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각 글쓰기

효과적인 글쓰기 방법에 대한 생각

by 조엘스 2023. 7. 25.
반응형

예전에는 글쓰기라고 하면 전문작가분들이나 쓸 수 있는 영역이라고 생각했다. 특별한 기술이 필요하고 삶에 대한 통찰력이 담겨있어야만 한다고 느꼈고 그래서 도저히 엄두가 나지 않은 분야였던게 사실이다. 그러나 요즘 주변을 보면 글을 쓰는 사람들이 참 많이 보이고 그 글 또한 전문칼럼부터 에세이 형식이 글까지 종류도 다양하다는걸 느낄 수 있다. 그간 나는 전문칼럼 또는 책을 쓰기 위한 집필활동만을 글쓰기로 생각해왔던 것이다.

 

여기에서는 가벼운 마음으로 쓰는 글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한다. 나는 전부터 나의 일상을 기록하는 것과 독서를 좋아했기에 어떻게 생각해 보면 일종의 글쓰기를 해왔던 셈이다. 이런 활동을 통해 나오는 독서후기나 일기 또한 하나의 글쓰기인데 이걸 글쓰기라고 생각하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주변을 둘러보니 이제는 좀 알 것 같다. 누군가에게 통찰력을 통해 도움을 줄 수 있는 글쓰기도 있지만 내 생각을 정리하는 글쓰기도 있다는 걸. 어렴풋이 알고 있었지만 이게 내 이야기인 줄을 몰랐다.

 

이런 이유로 글쓰기 전에 먼저 내가 생각하고 있는 글쓰기에 대한 정의를 내려보자. 그 정의에 나처럼 고정관념이 껴있다면 앞으로 글 쓰는데도 분명 한계가 있을 거라 생각한다. 내가 생각하는 글쓰기란 무엇인가?

 

나에게 글쓰기는 '생각정리'다. 이 생각정리가 나중에 어떻게 변할지는 모르겠지만 누군가에게 경험을 나눠주는 글보다는 나에게 쓰는 글을 먼저 시작해 본다면 글쓰기에 조금은 익숙하지 않을까 해서 이 틀 안에서 쓰고 있다. 나와 비슷하게 글 쓰는 걸 시작하고 싶다면 그리고 처음이라면 아무 생각도 하지 말고 써 내려가보자.

 

목차, 맞춤법뿐만 아니라 논리적인 생각조차 버리고 그냥 쓰자. 이걸 보고 이게 무슨 글쓰기야? 낙서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충분히 이해한다. 그러나 우리는 지금 첫 시작을 앞두고 있으니 보다 효과적인 글쓰기를 위한 기술과 팁들은 나중에 생각하자. 우리는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는 게 먼저고 이 두려움을 깨는 방법은 마음을 통제하지 말고 일단 그냥 써 내려가는 것이다.

 

 

글은 초고가 아닌 퇴고를 통해 만들어진다.

시간을 두고 퇴고를 하면 할수록 글은 좋아지기 때문에 처음에는 이렇게 마음 가는 대로 작성해도 된다. 그 어떤 것에도 제한을 두지 말고 써내라 가자. 이렇게 글을 쓰고 있는 와중에도 '나는 지금 글쓰기에 관한 글을 쓰고 있어'라는 식으로도 나를 제한시키면 안 된다. 이렇게 자신을 제한하는 순간 경직되고 얼어붙는다. 그냥 나에게는 쓰레기 같은 글을 쓸 수 있는 권리가 있다고 생각하고 계속해서 써 내려가자. 일단 글도 쓰고 나야 다듬을 수 있다.

 

삶의 경험들을 삭혀 퇴비로 만드는 것이 글쓰기의 시작이다.

어떤 글이 괜찮은 글이고 무엇에 대해 써야 할까? 나에게부터 출발하면 된다. 내가 알고 있는 모든 것에 대해 쓰는 것부터가 글쓰기의 시작이다. 내가 다른 사람들의 글을 읽을 때 가장 마음에 와닿는 글들의 공통점의 자신만의 경험이 글에 녹아져 있는 글이었다. 처음부터 이조차도 글로 쓰기 어려울 수 있지만 괜찮다. 내 경험이 부족하다면 다른 사람들이 쓴 글을 많이 읽고 다른 사람들의 말을 잘 들어준다면 더 좋은 글을 쓸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글이 안 써질 때도 무조건 글을 써 내려가는 자세

내가 계속해서 쓰라고 강조하는 이유는 쓰레기 같은 글도 퇴비가 되어 나중에 더 좋은 글이 나올 수 있는 양분이 되기 때문이다. 쓰면 쓸수록 실력이 늘 수밖에 없는 이유다. 계속해서 비료가 될만한 자료를 수집하고 발효시켜서 나의 정원을 비옥하게 만들어보자. 나 또한 내가 생각하는 글을 써 본 경험이 별로 없기 때문에 나에게는 쓸모없는 졸작을 쓸 권리가 있다고 생각하며 오늘도 이렇게 글을 계속 쓰고 있다. 일단 시작해 보자.

반응형

댓글